인두염이란 인두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하며 흔히 인후통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감염에 의해 인두와 편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들을 일컸습니다. 인두는 목의 일부분으로 비강의 뒷벽에서 후두개의 뒷벽, 식도의 바로 윗부분까지를 일컫는 부위이며, 그 주위에는 편도와 아데노이드라는 면역기관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부위는 공기와 음식물이 통과하는 통로여서 감염성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인두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병원균 감염에 의해 일어납니다. 사람간에 기침, 재채기, 첩촉, 음식과 음료를 나눠먹는 것으로 전염될 수 있습니다. 학교나 보육센터, 직장, 가정에서도 쉽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흡연자이거나 몹시 피곤한 경우, 춥고 습도가 높은 날씨인 경우 인두염에 걸린 위험이 높습니다.
인두염에 걸리면 다음과 같은 증상,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목구멍이 쓰라리고 붉거나 부어오릅니다.
- 발열
- 목구멍에 덩어리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 목의 한쪽이나 양쪽 부분이 만지면 아프고 부어보입니다.
- 목이 아파 숨을 쉬고 삼키고 말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 귀가 아플 수 있으며 몸살이 나거나 피곤함을 느낍니다.
- 목구멍 뒤쪽에 희면서 노란 반점이나 수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인두염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의사 소견으로 이루어지며 바이러스 감염과 세균감염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이러스와 세균감염은 증상만으로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다음의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인두배양: 세균성 인두염을 진단하기 위해 인두부위에서 검체를 체취해서 배양하는 검사입니다.
- 사슬알균 항원 검출법
- 혈액검사: 백혈구 수치나 염증 정도를 확인하여 감별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약물치료>
- 항생제: 대부분의 경우 바이러스성이므로 항생제 투여가 필요 없으나 배양검사에서 양성을 보이는 세균성 인두염인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연쇄상구균 감염은 조기에 항생제를 투여하면 증상이 회복될 수 있습니다.
- 소염진통제: 발열과 인후통을 완화시키고 염증을 가라앉힙니다.
<그 외 방법>
- 가글: 미지근한 생리식염수나 소금물로 가글합니다.
- 가습기를 이용하거나 수증기를 흡입합니다.
- 목이 아프기 때문에 음식을 먹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으므로 억지로 먹는 것 보다는 죽이나 미음등으로 영양공급을 합니다.
화농성 합병증과 비화농성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화농성 합병증: 중이염, 부비동염, 인두후부 및 편도 주위농양
- 비화농성 합병증: A군 사슬알균(연쇄구균) 인두염에서 류마티스 열, 급성 사구체 신염
인두염은 상기도 감염의 일종으로 상기도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이 도움이 됩니다.
- 청결 유지: 손씻기, 구강세척(가글), 양치질
- 과로를 피합니다.
- 금연: 직접 흡연을 하는 것 뿐 아니라 간접흡연 역시 인두염의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피하도록 합니다.
- 적절한 습도 유지: 공기가 너무 건조해지지 않도록 가습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름철의 경우에는 습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제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공기 청정기, 에어컨, 가습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 청소가 원활하지 못하면 오히려 이러한 기구들이 세균 및 바이러스의 서식처가 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필터교환과 청결 유지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이들의 항생제 처방에 대해 걱정하는 부모님이 계실 수 있습니다. 인두염의 원인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성으로 항생제 투여가 필요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세균성 인두염인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인후, 편도가 지나치게 붉게 부풀거나 염증성 액체로 덮이는 경우, 고열 및 인두통이 심한 경우 세균감염을 의심하여 항생제 처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인두염에 걸리면 목구멍이 아프거나 부어오릅니다. 목의 편안함을 느끼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단단한 사탕이나 목캔디를 녹여 먹습니다.
- 따뜻한 물이나 진한 차에 소금 1티스푼을 넣어 가글을 합니다.
- 차가운 분무 가습기를 사용하면 수분 보충 효과가 있고 호흡을 편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매일 충분한 양의 물을 마십도록 합니다.
- 아이 주위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 아이가 충분히 쉴 수 있도록 해야하며 노래나 말을 너무 많이 하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
- 사용하던 칫솔에 목구멍 통증을 유발하는 세균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새 칫솔을 사용합니다.
- 인두염에 동반되는 경부 림프절염은 대부분 인두염이 사라지면서 함께 사라집니다.그러나 경부 림프절 크기가 3cm이상이거나 결핵 또는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항생제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 림프절이 2주일이상 크기가 증가하고,8-12주에도 정상크기가 되지 않으면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MICROMEDEX CareNote TM System, Thomson Healthcare Inc. 2011
MICROMEDEX Consumer's health solution, Thomson Healthcare Inc. 2011
HealthGuide 16th ed. UBM Medica; 2011
MyD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for Australia from MIMS; 2011
보건복지부 건강정보포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