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하시는 질병정보를 찾아드립니다.
질병과 관련된 의약품과 고시 및 뉴스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질환 포커스

식도 정맥류 출혈

Oesophageal varices with bleeding
공유

URL 복사

아래의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식도 정맥류에서 마치 풍선이 부풀면 더 부풀지 못하고 가장 약한 부분이 터지듯이 식도 정맥류도 약한 부분에서 파열이 생기고 이로 인해 대량의 출혈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정맥류 출혈은 간경변증 환자의 주 사망원인 중 하나로 일단 출혈하게 되면 약 20-30% 정도의 사망률을 보이게 됩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식도 정맥류 출혈이 왜 일어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어떤 환자들에서 잘 일어나는지는 알려졌습니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검사에서 정맥류의 크기가 클수록, 간기능이 나쁠수록(황달, 복수, 간성 혼수 등이 동반된 경우), 간 문맥압이 높을수록, 정맥류의 일부분 색깔이 빨간색으로 변했을 경우(일반적으로 푸른색) 등입니다.

이 질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출혈이 생기면 토혈(피를 토하는 증상), 갑작스러운 어지러움, 흑색변(자장면 같은 검은색의 변), 혈변,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단독으로 혹은 동시에 나타납니다.

이 질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더보기

정맥류 출혈은 궁극적으로 내시경으로 진단하는데 내시경을 보면 정맥류에서 직접 출혈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지만 직접 출혈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시경으로 정맥류에 붙어 있는 출혈의 흔적과 위 속에 고인 피를 확인했다면 정맥류 출혈을 확진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더보기

1. 식도 정맥류가 출혈을 한 경우에는 우선 응급실로 빨리 내원하여야 합니다.
2. 급성 출혈 시의 약물요법으로는 혈관 수축제로는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 텔리프레신(terlipressin) 등이 있습니다.
3. 내시경 치료법: 경화요법(늘어난 정맥류 조직에 내시경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여 혈관을 경화시킴)과 결찰술(늘어난 정맥류를 내시경에 장착된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묶어줌)이 있습니다.
4. 내시경으로 지혈이 되지 않는 심한 출혈 혹은 환자가 내시경을 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풍선확장술(식도 내에서 풍선을 부풀려 정맥류를 직접 압박하여 지혈시키는 법)을 이용합니다.
5. 경경정맥 간내문맥-전신 단락술은 주로 급성 출혈의 치료와 재출혈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이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나요? 치료 경과는 어떤가요? 더보기

정맥류 출혈로 인해 혈압 저하와 이로 인한 각종 장기의 손상, 그리고 심할 경우에는 의식까지 잃을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더보기

1. 음주는 문맥압 항진의 원인이 되므로 금해야 하며, 더욱이 알코올성 간경변증인 경우에는 절대 금주해야 합니다.
2. 비행기 여행은 기압의 변동으로 문맥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간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환자(황달, 복수, 간성혼수)는 비행기 여행을 피하는 것이 좋겠고 간 기능이 괜찮더라도 식도 정맥류가 있는 환자는 정맥류 출혈 예방약을 꼭 복용해야 합니다.

정맥류 출혈 예방
1. 약물요법: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propranolol, 프로프라놀롤)라는 약을 복용합니다. 식도 정맥류의 첫 출혈의 예방뿐만 아니라 재 출혈의 예방으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2. 간 이식은 정맥류 출혈의 근본원인인 간경변증을 해소함으로 출혈의 치료 및 재출혈의 예방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높은 수술 비용과 위험성 등을 고려할 때 말기 간경변 환자(황달, 복수, 간성 혼수 등)에서 생각해 볼 수 있지만, 간 기능이 비교적 좋은 환자에서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아야 합니다.

제가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1. 응급실로 후송할 때에는 급작스러운 토혈로 인해 피가 기도로 넘어가 숨 쉬는 것을 막는 기도폐색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똑바로 눕지 말고 환자를 옆으로 눕게 해야 하며 혈압이 떨어지는 쇼크(shock)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체를 아래로 향하게 하고 하체를 약간 들어주는 자세로 이송해야 합니다.
2. 식도 정맥류 출혈이 있으면 내시경 시술 후 2-3일 또는 경우에 따라 다음 시술을 위해 그 이상 금식할 수도 있습니다. 시술에 의해 식도가 좁아진 상태이므로 초기에는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2-3일간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해 본 후 별 무리가 없으면 일반적인 식사를 시작해도 좋습니다.
3. 운동은 피로를 느끼지 않는 범위에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은 과격한 운동보다는 산책, 걷기와 같은 가벼운 운동이 적당합니다. 역기를 드는 것과 같은 과도한 근력운동은 식도 정맥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문헌 더보기

MICROMEDEX Consumer's health solution, Thomson Healthcare Inc. 2011
UpToDate, Inc. 2011
보건복지부 건강정보포털; 2011

관련제품보기

0/0

최근 본 콘텐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