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하시는 질병정보를 찾아드립니다.
질병과 관련된 의약품과 고시 및 뉴스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질환 포커스

열성경련

Febrile seziure
공유

URL 복사

아래의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
질병분류명 신생아·소아 질환, 기타
관련질환명 뇌수막염, 감기

이 질병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열성경련(열 발작)은 소아의 정상적 체온보다 높은 체온(열)으로 일어납니다. 이러한 발작은 뇌, 척수 감염이나 신경계 원인과는 별개로 일어납니다. 열성경련은 경련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소아에게 유해하지 않습니다. 발작이 일어나면 부모의 경우 놀랄 수 있지만 뇌의 손상을 가하지는 않으며 보이는 것처럼 심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열성경련은 보통 1분-10분 정도 지속됩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보통 체온이 38.8℃ 이상 상승되면 열성경련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열성 경련은 소아의 체온이 빨리 오르는 경우 더 잘 일어나며 열은 감기나 독감, 귀 감염, 상기도 감염과 같은 감염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질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열성경련이 일어나는 동안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수 있습니다.
- 눈이 뒤집어짐(눈이 두로 돌아가는 듯한 증상)
- 팔, 다리, 얼굴이 갑자기 움직이거나 뒤틀림 혹은 경직
- 말을 할 수가 없으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함, 부모의 소리에 반응하지 않음
- 자각 없이 소변이나 대변을 봄
- 구토
- 발작이 일어난 후에 졸려하거나 안달복달함
- 때때로 숨을 쉬기 어려워 함, 청색증

이 질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더보기

- 열을 내리기 위해 해열제를 투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8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아스피린을 투여해서는 안됩니다. 혹은 차가운 수건을 이마나 목에 가져다 대고 미지근한 물을 스펀지에 적셔 다른 부분을 닦아줍니다. 차가운 물이나 알코올을 적용하는 경우 열이 더 심해집니다.
- 소아가 혀를 무는 것을 막기 위해 입에 일부러 무언가를 넣으려고 하는 것은 상처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하지 않습니다. 또한 경련동안 소아의 움직임을 제지하려 하지 않습니다.
- 경련이 일어나는 동안은 아이가 다치기 않도록 안전한 장소로 옮기도록 하고 주위에 소아가 다칠 수 있는 물건을 두지 않습니다. 옷은 느슨하게 입히고 특히 목이 조이지 않도록 합니다. 토하거나 침이 입 안에 차게 되면 옆으로 뉘도록 합니다.

이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나요? 치료 경과는 어떤가요? 더보기

수막염(뇌막염)은 열성경련이 있는 소아 중 0.1% 미만에게서 일어나지만 1세 미만이거나 체온이 정상적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여전히 아파 보이는 것이 아니라면 특별히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제가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부모는 침착하게 소아의 곁을 지킵니다. 소아를 옆으로 뉘우고 머리가 몸과 같거나 혹은 조금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합니다. 토하는 경우 질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옷은 느슨하게 풀어주고 혀를 물지 않게 혀를 잡거나 입 안에 다른 것을 넣지 않습니다. 경랸이 시작한 때와 끝나는 때를 기록하고 경련을 억지로 멈추게 하려 하지 않습니다. 경련이 일어나는 동안 소아가 다치지 않도록 주위에 위험한 물건은 치우도록 하고 경련이 지나간 후에 소아를 다그치거나 때리지 않습니다. 경련이 끝나면 병원으로 데려가 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습니다. 경련이 몇 분동안 지속되는 경우에는 119에 신고하여 응급처치를 하도록 합니다.
열이 있는 경우
- 열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온계를 상비하도록 하며 열이 있는 경우에는 해열제(시럽, 좌제 등)를 투여합니다. 몸을 시원하게 만들기 위해 대부분의 옷은 벗기고 기저귀도 벗깁니다. 가벼운 담요 하나로 아이를 감싸고 방의 온도를 낮춥니다. 열이 있을 때는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합니다.

참고문헌 더보기

MICROMEDEX CareNote TM System, Thomson Healthcare Inc. 2011
MICROMEDEX Consumer's health solution, Thomson Healthcare Inc. 2011

관련제품보기

0/0

최근 본 콘텐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