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하시는 질병정보를 찾아드립니다.
질병과 관련된 의약품과 고시 및 뉴스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질환 포커스

급성중이염

Acute otitis media(AOM)

이 질병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중이염은 가운데 귀 내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성 질환을 말합니다. 소아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 중 가장 흔한 것으로 급성 중이염(AOM), 장액성 중이염(SOM), 만성 중이염(COM)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여러 형태의 중이염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한 종류의 중이염에서 다른 중이염으로 이행되기도 합니다. 급성 중이염은 중이에서 발생하는 급성의 염증 현상 전반을 가리킵니다. 초기에는 고막의 발적, 고막의 팽창으로 인한 이충만감, 이통, 난청, 발열 등의 증세가 있을 수 있으며, 고막이 천공되면 이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급성중이염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이통(영아의 경우 귀를 잡아당기는 것 포함), 발열, 보챔(Irritability), 이루 등이 있습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중이염이 발병하는 이유는 중이(가운데귀)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기 때문입니다. 중이염은 상기도 감염증(기도 상부에 염증이 생김. 예 : 감기)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바이러스/세균이 유스타키오관(코 뒷쪽에서 목구멍, 중이를 잇는 두 개의 관)을 통해 중이로 퍼집니다.

*위험요인:
1. 나이: 생후 6개월-2세경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2세 이전에 첫 번째 중이염이 생길 경우 반복적으로 중이염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2. 가족력: 유전적인 성향이 있어 부모나 형제 중에 반복적인 중이염이 앓은 사람이 있으면 그 소아도 중이염이 반복적으로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감기/알러지: 감기나 알러지는 중이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의 경우 다른 소아들과 접촉 기회가 많아져 감기가 전파되기 쉽습니다.
4. 흡연: 간접흡연
5. 인공수유: 젖병을 이용하여 수유하는 경우, 특히 눕혀서 수유를 하는 경우 중이염이 보다 많이 발생합니다. 분유를 먹이고자 하는 경우 아이의 머리를 배보다 높게 하여 먹입니다.

이 질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중이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귀 통증: 중이강 내의 삼출액이 고막을 밀어 팽창하면 귀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귓물(이루): 삼출액이 농성으로 바뀌고 압력이 높아져 어느 수준을 넘으면 고막을 터뜨리고 외이도로 흘러나옵니다. 고막에 구멍이 생겨 농성 분비물이 흘러나오면 고막에 대한 압력이 소실되어 통증이 사라집니다.
3. 난청: 중이강 내에 고인 삼출액이 소리의 전달을 방해하여 일시적인 난청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그 외: 발열, 구역, 구토, 어지러움

*소아가 다음과 같은 행동을 보일 경우 중이염을 의심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평소보다 많이 보채거나 운다.
-잠을 잘 자지 못한다.
-열이 난다.
-귀를 잡아당기거나 자꾸 만진다.
-귀에서 분비물이 흘러나온다.
-균형을 잘 잡지 못한다.
-조용한 소리로 말하면 알아듣지 못한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소리를 키운다.
-크게 말한다.
-학교에서 주의 집중을 하지 못 한다.

이 질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더보기

1. 고막검사: 이경, 내시경을 이용하여 고막을 관찰합니다. 삼출성 중이염의 경우 삼출액의 여부를 판단합니다.
2. 고실측정법: 중이의 상태를 볼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입니다.
3. 청력검사: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집중하기 어려운 유소아의 경우 전문적인 청력 검사자가 측정하여야 결과를 신뢰 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더보기

1. 항생제 치료: 급성 중이염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항생제 치료이지만 항생제 투여의 시기와 사용량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있습니다.
2. 기타 약물 치료: 급성 중이염의 경우 귀의 첫 통증 24시간 동안 통증조절이 중요합니다. 보통 진통제를 사용하며 그밖에 고막이 뚫어져 고름이 나올때는 이용액을 사용합니다. 항히스타민제, 점막수축제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3. 고막천자, 고막절개: 고막천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중이에 있는 삼출액을 직접 뽑아내는 방법이고, 고막절개는 고막에 구멍을 만들어 삼출액이 자연 배출되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 중이에 있는 액체를 뽑아냄으로써 통증을 줄일 수 있고, 세균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나요? 치료 경과는 어떤가요? 더보기

1. 두개 외(外) 합병증: 내이염, 안면신경 마비, 꼭지돌기염
2. 두개 내(內) 합병증: 극히 드물지만 염증이 뇌나 뇌막으로 퍼지게 될 경우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난청과 그에 따른 발달장애: 난청을 동반한 중이염은 아이들에 따라 발달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그 외: 고막의 함몰, 고막의 천공, 귀속뼈의 괴사, 고실경화증, 만성 화농성 중이염, 유착성 중이염, 진주종의 형성

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더보기

1. 중이염의 일반적 예방법
-적어도 6개월까지는 모유수유를 합니다.
-간접흡연을 피합니다.
-대단위 보육시설을 피합니다.
-손을 잘 씻습니다.
-예방접종을 빠짐없이 맞습니다.
2. 중이염이 내과적 예방법: 저용량의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투여, 지속적인 항생제의 투여는 약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고, 내성균주를 만들 수 있으므로 의사와의 상의를 거쳐 특수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합니다.
3. 중이염의 수술적 예방법
-환기관 삽입술: 귀인두관의 기능인 중이의 배출과 환기를 도와 급성 중이염과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급성 중이염을 반복적으로 앓거나 만성 삼출성 중이염으로 난청이 있는 경우 받습니다.
-아데노이드절제술: 귀인두관이 열리는 곳의 바로 옆에 있는 아데노이드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경우 귀인두관을 막아 중이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제가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1. 중이염에 걸렸다고 생각되면 즉시 의사를 찾아가야 합니다.
2. 귀에서 분비물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합니다. 면봉으로 부드럽게 닦아냅니다(농이 흐르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열패드나 따뜻한 물이 든 병을 귀에 갖다되면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혹은 아이스팩을 수건으로 감싸 귀에 갖다대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4. 성인의 경우 금연합니다. 또한 환자 주위에서 흡연하지 않도록 합니다.
5. 수영을 할 경우에는 고막이 찢어질 수 있으므로 중이염이 있는 동안에는 수영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6. 의사의 지시 없이 귀에 점이액을 포함하여 그 어떤 것도 넣지 않습니다.
7. 감기가 걸린 사람이 주위에 있다면 피하도록 합니다.

참고문헌 더보기

MICROMEDEX CareNote TM System, Thomson Healthcare Inc. 2011
MICROMEDEX Consumer's health solution, Thomson Healthcare Inc. 2011
MyDr-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for Australia from MIMS; 2011
보건복지부 건강정보포털; 2011

관련제품보기

0/0

최근 본 콘텐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