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하시는 질병정보를 찾아드립니다.
질병과 관련된 의약품과 고시 및 뉴스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질환 포커스

만성 활동성 간염

Chronic active hepatitis(CAH)
공유

URL 복사

아래의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만성 간염 중에서 간염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간소엽의 구조가 파괴되는 증상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B형, C형, CMV, EBV의 간염 바이러스의 감염이나 약물, 윌슨병(Wilson's disease), 항트립신 결핍 등에 의한 만성간염 상태에 의한 지속적인 간세포 파괴가 원인입니다.

이 질병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더보기

1. 활동성 보유자(GOT, GPT는 정상, e항원 양성): 간염바이러스 증식이 활발할 뿐이고 간세포 손상도 없고 증상도 없으므로 치료대상이 아닙니다.
엄밀히 말해 활동성 간염은 아닙니다.
2. 활동성 간염 (GOT, GPT가 높고, e항원 양성): 간염바이러스의 증식이 활발하고 간세포 손상(염증이 활발)도 과도하므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 질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염증, 간세포의 조각난 괴사와 간세포의 변성, 그리고 간소엽 내의 세포침윤 등이 특징입니다.
주 증상으로는 심한 황달, 발열, 갑상선염, 용혈성 빈혈, 간과 비장 비대, 사구체 신염, 복통, 복수, 관절염, 무월경 등이 있습니다.

이 질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더보기

조직검사, 6개월 이상 GOT, GPT 상승으로 만성 활동성 간염을 진단하였으나, 최근에는 염증정도·조직파괴정도·섬유화정도등에 각각 점수 매겨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질병은 회복되는데 얼마나 걸리나요? 더보기

만성 질환입니다.

이 질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더보기

충분한 휴식과 심리적 안정을 취하고, 지속적인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인터페론, 라미부딘, 아데포비어디피복실과 같은 항바이러스 약물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이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나요? 치료 경과는 어떤가요? 더보기

비활동성 간염에 비하여 간경변으로 이행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비활동성 간염의 염증 부위는 간문맥에 국한되지만 활동성 간염은 문맥에서 간소엽내로 진행하며, 약 40%에서 간경변으로 진행됩니다.

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더보기

1.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합니다.(아기가 태어나면 B형 간염 예방주사를 맞힌다.)
2. 과로, 음주, 흡연을 피합니다.
3. 성관계 시 콘돔을 착용합니다.
4. 약물 주입용 주사기 돌려쓰지 않습니다.
5. 문신, 침술, 피어싱등을 할 때 소독된 기기를 사용합니다.

제가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1. 금주합니다.
2. 약물 복용 시 주의 합니다.(아세트아미노펜 등)
3. 피로하지 않게 휴식을 취합니다.
4. 가벼운 출혈은 될 수 있는 대로 자기가 처치하도록 합니다.
5. 헌혈을 하지 않습니다.
6. 수건, 면도기(전기면도기 포함), 칫솔은 타인과 함께 사용하지 않습니다.

참고문헌 더보기

MICROMEDEX CareNote TM System, Thomson Healthcare Inc. 2011
대한간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관련제품보기

0/0

최근 본 콘텐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