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비동이란 코 주위의 얼굴뼈 속에 빈 공간으로 이 공간들은 콧속과 작은 구멍(자연공)으로 통해 있어 환기와 분비물의 배설이 이루어집니다. 부비동염(축농증)이란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이 제대로 환기 및 배설되지 않는 경우 2차적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여 고름이 고여서 염증이 심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부비동에서 분비되는 점액이 섬모의 운동이상, 점액의 성상이상 등의 이유로 정상적인 배출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 발생합니다.
1. 급성 비부비동염의 원인: 바이러스 감염, 치아감염, 외상, 해부학적 이상, 전신질환, 세균감염(폐렴쌍구균, 인플루엔자균 등)
2. 비부비동염의 위험요인: 급성비염, 치아감염, 구개열, 만곡증, 폴립(polyp), 급작스런 기압변화, 외상에 의한 물리적인 손상, 담배연기, 공해 등 자극물질, 무운동성 섬모증후군, 면역저하질환
부비동염(축농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급성비부비동염: 코막힘, 콧물, 후(後)비루, 기침, 부비동 부위 통증 및 압통, 발열, 권태감, 화농성의 분비물, 치통, 안면부 통증 및 국소 열감
2. 만성 비부비동염: 코막힘, 점액성/점액농성 콧물, 콧물이 목 안으로 넘어감, 기침, 안면통, 치통, 귀통증, 귀가 먹먹한 느낌, 두통, 후각 및 미각 저하
1. 증상 및 신체검사: 부비동염에 맞는 증상이나 병력이 있는 경우 부비동이 있는 위치에서 압통이 유발되면 비부비동염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2. 비강검사: 비강 내부 점막을 확인하여 점막의 상태, 분비물의 상태, 해부학적 이상, 이물질, 종양등을 관찰합니다.
3. X-ray: 부비동을 확인합니다.
4. 전산화단층촬영술(CT): 충분한 치료에도 증상이 계속되거나, 부비동염의 합병증이 생기거나 혹은 종양이 의심될 때, 또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부비동염 치료는 적절한 항생제를 충분히 투여하고 자연공을 통한 부비동의 배액과 환기유지, 발병요인을 개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1. 보조치료: 식염수 세척
2. 약물치료
- 항생제: 급성세균성 부비동염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 사용으로 10-14일 정도면 치료할 수 있습니다.
- 점막수축제: 자연공을 통한 부비동 내부 점액 물질의 배출과 공기 소통을 돕습니다.
- 항히스타민제: 재채기, 가려움, 콧물 등의 알러지 증상을 줄여줍니다. 그러나 분비액 점성을 증가시켜 분비물 배출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소염진통제: 염증반응을 억제합니다.
- 국소스테로이드: 콧속의 염증과 점액 발생을 억제시켜 코막힘을 줄여주고 점막의 부종을 감소시켜 부비동염을 호전시킵니다.
3. 수술: 만성 부비동염이 약물 치료와 보조적 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고, 비강 검사나 전산단층촬영술 등으로 비강 또는 부비동에 병변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합병증으로 후두염, 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실내가 춥고 습기가 많거나 덥고 건조하지 않도록 합니다.
2. 겨울에 난방장치를 한 건물에서는 습도를 45-50%로 유지합니다.
3. 재채기를 참지 않습니다.
4. 흡연하지 않습니다.
5. 수영이나 다이빙 시에 코로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1. 실내에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서 콧물을 묽게 할 경우 콧물의 배출이 잘 되므로 가습기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운동 또한, 코에서의 배출을 증가시키므로, 부비동의 압력을 줄여주어 울혈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많은 양의 물(하루에 6-10잔)을 마시는 것이 호흡에 있는 점액을 물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흡연을 중단합니다. 담배 연기는 부비동 안쪽에 자극을 주어 염증을 야기합니다.
5. 알코올 음료로 부비동막의 부피가 늘어나므로 피합니다.
6. 실내의 공기가 잘 환기되도록 하고 적정 온도를 유지합니다.
7. 뜨거운 물, 뜨겁거나 젖은 습포, 또는 전기 열 패드를 염증부위에 놓는 것은 일시적으로 통증과 염증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8. 유소아의 축농증 치료는 안정과 동시에 실내공기를 깨끗이 환기시키고 25도전후, 습도 70~80%이상을 유지시키며 취침시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사용약물의 주의점>
1. 항생제: 경구피임약 복용자가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피임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피임요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점막수축제(비충혈 제거제): 이 약을 고혈압 환자에게 투여했을 때, 혹은 필요 이상의 용량을 투여했을 때, 심박동수와 떨림이 증가하거나 고혈압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또한 장기 투여시 반동성 울혈(몸 안의 장기나 조직에 피가 몰려있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합니다.
3. 항히스타민제: 몇몇 항히스타민제들은 졸음과 목마름을 일으킬 수 있으며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복용중인 환자는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작동을 피합니다.
4. 국소스테로이드: 이 약들은 보통 국소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테로이드의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부작용으로 때때로 코피나 날 수 있습니다.
MICROMEDEX CareNote TM System, Thomson Healthcare Inc. 2011
MICROMEDEX Consumer's health solution, Thomson Healthcare Inc. 2011
KIMS Pharmacy Guide, CMP Medica; 2006
보건복지부 건강정보포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