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으로 생기는 비강염증입니다. 거의 모든 만성 비염은 알러지성 비염이거나 만성 축농증(부비동염)으로 확질될 때가 많습니다.
거의 모든 만성 비염은 알러지성 비염이거나 만성 축농증(부비동염)으로 확질될 때가 많습니다. 비강 물혹, 만성 부비동염, 비강이물, 선천성 코 기형, 호르몬 이상,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약물, 정서불안에 의해 만성 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간혹 매독균 감염으로 만성 비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원인에 따라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세균에 의한 만성 감염성 비염 외에 만성 비염에는 비후성 비염, 알러지성 비염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원인에 따라 증상이 조금씩 다릅니다.
만성 축농증으로 만성 비염이 생길 떄는 누렇고 푸르스름한 콧물이 나올 수 있으며, 알러지성 비염으로 만성 비염이 생길 때는 코가 가렵고 맑은 콧물이 많이 나며 코가 자주 막힐 수 있습니다. 콧구멍 입구와 코의 바로 아래 부분이 헐고 진물이 나는 경우도 잇습니다. 그 밖에 만성 비염의 증상은 알러지성 비염의 증상과 비슷합니다.
병력, 증상과 진찰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내시경을 통해 직접 코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밖에 원인을 알기 위해 방사선 검사, 피부검사, 특이 면역글로블린 E항체 측정, 호산구 특정법, 면역성검사를 사용합니다.
만성 비염은 증상으로 완치가 되었다 하더라도 재발할 수 있으며 완치보다는 조절의 개념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없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입니다.
일단 원인되는 질환을 치료합니다.
감염성 비염일 경우 대개 적절하고 충분한 기간 동안의 항생제 투여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합병증이 있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기대할 수 있으나, 어린이들에게는 수술적 치료보다는 약물 치료가 원칙입니다.
약물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제의 경구 투여와 코속에 뿌리는 점비약 등 점막 수축제류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염증이 귀에까지 퍼져서 중이염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나아가서는 인후두염이나 기관지염, 부비동염까지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비염의 염증이 퍼져 콧물 등이 괴어 머리가 아프거나 무겁고 고름 섞인 콧물이 나옵니다.
1. 감기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감기를 예방합니다.
2. 휴식을 취하고 평소에 운동을 하여 면역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신체 접촉이나 공기를 통하여 전염될 수 있으므로 따뜻한 물과 비누로 손을 자주 씻습니다.
4. 흡연이나 간접흡연을 피합니다.
5. 물이나 쥬스 같은 음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6.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7. 따뜻한 소금물로 양치질을 합니다.
8. 식염수나 미지근한 물을 코에 떨어 뜨리면 코가 덜 막히게 됩니다.
1. 만성 비염이 되는 원인을 잘 치료해야 합니다.
2. 알러지성 비염이 원인일 경우 알러지 유발물질을 피하셔야 합니다.
3. 코 증상을 잘 조절할 경우 눈 중상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드시는 약이 있거나 다른 질환이 있는 경우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4.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경우 졸음과 구갈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운전 및 기계 조작을 피합니다.
5. 비충혈제거제를 복용하시는 분도 운전 및 기계 조작을 피하셔야 하며, 술을 드시면 안됩니다.
6. 분무제 중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약품인 항울혈제를 임의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코 점막이 손상되는 약물성비염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보건복지부 건강정보포털; 2011
대한이비인후과학회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