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하시는 질병정보를 찾아드립니다.
질병과 관련된 의약품과 고시 및 뉴스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질환 포커스

폐렴

Pneumonia

이 질병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폐포나 폐간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며 세균의 감염에 의한 것 외에도 폐에 이물질 침입, 면역력의 저하, 또한 원인불명에 의한 것 등이 있습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폐렴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박테리아
2. 바이러스
3. 마이코플라스마: 세균과 바이러스의 중간적 미생물
4. 곰팡이
5. 구토
6. 액체, 화학물질, 먼지 등이 폐로 흡입된 경우
대부분의 경우 폐렴은 감염 물질이 폐로 흡입된 이후에 발생합니다. 그러나 일부의 경우 혈액순환이나 몸의 다른 부분 감염으로 부터 전이로 인해 감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많은 폐렴환자의 정밀한 검사 없이 정확한 이유를 밝히는 것은 어렵습니다.
때때로 수술이나 부상으로 인해 움직일 수 없는 환자에게 폐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얕은 호흡이나 기침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 점액이 폐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어 세균 감염이 보다 쉬워집니다. 이는 입원환자가 폐렴에 걸릴 위험이 더 높은 이유입니다.

폐렴 위험군
- 평소 과음하는 사람, 흡연자, 만성 심부전 환자, 당뇨병 환자, 만성 폐색성 폐질환자, AIDS 환자

이 질병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더보기

폐렴은 원인이나 부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간질성폐렴: 폐포의 벽에서 세기관지 둘레에 이르는 간질에 발생한 염증성 질환으로 대부분 진행성으로 섬유화하여 폐섬유증이 됩니다. 진행속도에 따라 급성 간질성 폐렴과 만성 간질성 폐렴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마른 기침과 호흡곤란, 발열, 청색증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2. 과민성폐렴: 여러 가지 진균류나 이종단백질 등의 항원의 흡입에 의하여 발생하는 알러지성 간질성 폐렴입니다. 여름철에 주로 발생하며 만성형에서는 폐섬유증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3. 대엽성폐렴: 폐렴의 한 분류로서 염증성 병변이 대엽 전체에 퍼져 대엽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침해하는데 이 병인의 대부분은 폐렴구균(pneumococcus)입니다. 오한과 전율을 동반하는 고열로 발생하여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을 보이며 청색증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4. 리케치아성폐렴: Q 열(Q fever)이나 발진티푸스(typhus fever), 쓰쓰가무시병(tsutsugamushi disease), 발진열(murine typhus) 등의 리케차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폐렴으로 오한과 발열, 전신권태, 두통 및 흉통 등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5. 바이러스성폐렴: 바이러스가 기도를 통해 폐에 감염이 되어 염증을 일으킨 상태이며 호흡기계 바이러스 외에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virus),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 등도 폐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감기와 유사한 증세를 보이다가 전신권태, 두통, 발열, 기침, 가래, 흉통, 요통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6. 흡인성 폐렴: 액체 또는 물질이 폐로 흡인될 때 발생합니다. 흡인성 폐렴의 흔한 원인은 위산 또는 구토물 흡입입니다. 입으로 먹은 음식, 음료, 타액(침)이 폐로 가는 경우도 흡인성 폐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이 폐로 들어가면, 폐에 손상을 주거나 폐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손상이나 막힘은 폐의 부종 및 수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1. 공통적 증상: 폐렴의 증상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객담(가래)를 동반한 기침, 가슴 통증, 발열, 오한, 숨쉬기 곤란하거나 숨가쁨 등은 공통적으로 나타납니다.
2. 박테리아성 폐렴: 박테리아성 폐렴에서는 심각한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거나 서서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호흡과 맥박률의 빠른 상승
- 산소 부족으로 인해 입술이나 손톱이 창백해지거나 파랗게 됨
- 이가 딱딱 부딧힘
- 전율
- 심각한 가슴 통증
- 정신적 혼란 - 고열
3. 바이러스성 폐렴: 대부분의 폐렴이 바이러스로 인한 것이라고 진단되어집니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위험하지 않고 지속되는 정도도 짧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고령자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 심각한 폐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두통
- 발열
- 마른 기침
- 무기력함, 근육통, 탈진
- 때때로 빠른 체력저하, 숨가쁨
4.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40세 이하의 환자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폐렴입니다. 대체로 경미한 폐렴이지만 중증 폐렴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치료되지 않을 경우 기침이나 무기력감이 몇 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 오함, 발열
- 인후통
- 마른기침: 이후 가래를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 피로
- 때때로 발진

이 질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더보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단하게 됩니다.
1. 문진: 폐렴이 의심되는 경우 기침, 가래, 발열, 흉통 등에 대한 여부와 함께 증상의 정도에 대한 문진을 합니다.
2. 신체검사: 체온, 청진, 타진
3. 영상의학검사: X-선으로 폐렴을 확인합니다. 최근 흉부전산화단층촬영(CT)를 이용하여 폐렴을 감별진단합니다.
4. 혈액검사: 백혈구수치 확인, 혈액액배양검사를 통해 폐렴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 확인하고 폐렴구균을 검출, 확진합니다.
5. 객담검사: 환자가 적절한 객담을 받아내도록 물로 입안을 행구고 농이 섞인 객담을 배출하게 하여 세균을 확인합니다.
6. 기관지내시경검사
7. 폐기능검사

이 질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더보기

폐렴의 치료는 폐렴을 일으킨 원인에 따라 달라지며 보통 다음과 같이 이루어집니다.
1. 항생제: 박테리아성 폐렴에 사용되며 정도가 심각한 경우 주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지만 2차 박테리아 감염을 막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진통제: 가슴의 통증을 줄여 기침이나 점액 분비를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산소: 만약 체내 혈액의 산소가 부족할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나요? 치료 경과는 어떤가요? 더보기

1. 소아의 경우 바이러스 폐렴으로 기관지확장증, 만성 폐섬유증, 일측성 과투과성 폐가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때로 전격 폐렴을 나타내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거나 폐쇄 세기관지염 및 폐섬유중, 기도 과민증 등 만성 폐질환으로 이행될 수 있습니다.
2. 그 외 합병증으로 중이염, 패혈증, 수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인플루엔자균으로 인한 폐렴으로 균혈증, 심외막염, 농흉, 수막염 등이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우리나라에서는 폐렴에 의한 사망이 10만명당 9.4명으로 전체 연령에서는 사망원인의 10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70세 이상에서는 사망원인 6위를 차지합니다.

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더보기

1. 금연: 성인의 경우 금연이 폐렴 예방에 중요한 방법입니다.
2. 영양공급: 영양결핍 역시 폐렴의 위험인자이므로 충분한 영양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3. 예방접종: 인플루엔자 백신은 호흡기 감염에 의한 입원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킵니다. 그 외 폐렴구균 백신 역시 폐렴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손씻기: 폐렴을 비롯한 호흡기감염증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하고 저렴한 방법입니다.

제가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1. 항생제를 투여하는 젊은 사람의 경우 집에서 쉬면서 빨리 치료가 될 수 있지만 노인의 경우 체력이 약하기 때문에 회복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들 수 있습니다.
2. 폐렴이 걸린 노인 환자들은 보통 입원을 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 폐질환이나 당뇨병, 심장질환같은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중증으로 발전하기 쉬우며 입원을 요할 수 있습니다.
3. 처방받은 약은 증상이 호전된 것을 느끼더라도 의사, 약사의 지시대로 정확하게 복용해야 합니다. 폐렴은 재발하기 쉽고 재발한 경우 첫번째 감염 때보다 더 심각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폐렴에서 조기 진단과 치료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만약 폐렴 증상이 나타난다고 의심되는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받도록 합니다.

폐렴 치료동안 혹은 치료 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1. 금연: 흡연하지 마시고 주변의 다른 사람도 흡연하지 못하도록 해야 합니다. 흡연은 폐 감염 또는 기타 건강 문제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흡연은 폐렴이 있은 후 회복도 어렵게 합니다.
2. 가습기 사용: 집안의 습도를 증가시키면 호흡이 편해지고 기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매일 따뜻한 비눗물로 가습기를 씻어서 세균이 없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3. 충분한 영양섭취는 몸이 병과 싸워 이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매일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해야 기도의 먼지를 씻어내고 세균이나 다른 자극 물질을 더 잘 없앨 수 있습니다.
5. 금주: 술은 기침 및 재채기 자극을 악화시킵니다. 폐렴에 걸렸을 때는 기도를 깨끗이 하기 위해 기침 및 재채기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술은 체내 수분을 내보내기 때문에 폐에 붙은 가래가 더 두텁게 되거나 기침하기 더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6. 폐운동: 깊이 호흡하는 것이 폐의 기도를 여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기침으로 폐에서 담(가래)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깊게 숨을 들이쉬고 할 수 있는 만큼 숨을 멈춥니다. 그런 다음 깊고 강하게 기침하여 폐 밖으로 공기를 내뿜습니다. 휴지에 대고 가래를 뱉고 버립니다.

참고문헌 더보기

MICROMEDEX CareNote TM System, Thomson Healthcare Inc. 2011
MICROMEDEX Consumer's health solution, Thomson Healthcare Inc. 2011
보건복지부 건강정보포털; 2011

관련제품보기

0/0

최근 본 콘텐츠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