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해 간에 염증이 일어나고 손상되는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제 2군 전염병입니다.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감염에 의해 발병합니다.
수혈, 성행위, 피어싱 또는 문신, 출산 시 전염될 수 있습니다.
1. 만성 B 형 간염: 어머니에 의해 수직 감염된 경우 대부분이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로 만성 B 형 간염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2. 급성 B형 간염: 주로 성인이 되어 감염된 경우에 발병합니다.
초기 증상은 식욕감소, 구역질, 구토, 피로, 두통, 발열이며 그 후 황달이 나타나고 소변색이 짙어집니다.
그 밖에 가려움, 체중 감소, 복통, 권태감, 식욕감소, 관절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거력 및 현재력 문진, 간효소수치 포함하는 간 기능 검사를 합니다.
급성 감염 시 2-12주 사이 회복되나 혈액 검사상으로는 정상이 되기까지 3-4개월이 걸립니다.
만성 감염 시 완치는 드문편입니다.
급성 B형 간염일 경우 환자의 안정 및 고단백 식이요법등의 대증요법으로 치료합니다.
입원치료가 필요할 수 도 있습니다.
만성 B형 간염 환자에게 인터페론, 라미부딘, 아데포비어디피복실과 같은 항바이러스 약물을 투여하기도 합니다.
B형 간염은 완치가 가능하며 면역성이 생겨 재발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항체가 생기지 않은 일부 환자들은 혈액 중에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지닌 보균자가 되어 다른 사람들에게 병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 보균자들은 10-20년 후에 간암에 걸릴 위험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소수에서 간경화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1. 약물 주입용 주사기 돌려쓰지 않습니다.
2. 칫솔이나 면도기를 같이 쓰면 안 됩니다.
3. 성행위 시 콘돔 착용합니다
4. B형 간염 백신을 접종합니다.(아기가 태어나면 B형 간염 예방주사를 맞힘)
5. 문신, 침술, 피어싱등을 할 때 소독된 기기를 사용합니다.
6. 과로를 피합니다.
1. 6개월-1년에 한번씩 정기 검진을 받습니다.
2. 단백질이 충분한 균형잡힌 식사를 합니다.
3. 적당한 운동을 합니다.
4.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에는 손을 잘 씻습니다.
5. 가벼운 출혈은 될 수 있는 대로 자기가 처치하도록 합니다.
6. 공혈이나 헌혈을 하지 않습니다.
7. 수건, 면도기(전기면도기 포함), 칫솔은 타인과 함께 사용하지 않습니다.
MICROMEDEX CareNote TM System, Thomson Healthcare Inc. 2011
MICROMEDEX Consumer's health solution, Thomson Healthcare Inc. 2011
대한간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