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하시는 질병정보를 찾아드립니다.
질병과 관련된 의약품과 고시 및 뉴스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질환 포커스

급성비염

Acute rhinitis

이 질병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코안에 있는 점막에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외부자극에 의하여 갑자기 염증이 일어난 상태로 우리가 보통 감기라고도 알고 있는 병이 코증상을 주로 일으킬 때를 말합니다.

이 질병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대개의 경우 박테리아보다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더 흔하며, 주로 rhino 바이러스라는 것이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1-3세의 유아들의 비염의 일부는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의 감염으로 생길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약 2-3일간의 잠복기를 거치면 본격적으로 급성 비염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대개 코에 국한된 건조감, 타는 느낌, 가려움증등과 함께 수양성 또는 화농성의 콧물, 코막힘, 갑자기 나타나는 재채기, 미열등이 동반되며 두통이나 근육통 또는 구토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감여으로 인한 비염 시 맑은 콧물과 짙은 콧물이 함께 날 수 있고 바이러스성 감기로 생긴 급성 비염만 앓을 때보다 더 아파 보이고 더 보채고 잘 먹지 않고 열도 날 수 있습니다.

이 질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더보기

주로 환자의 증상에 의하며 전비경검사나 내시경 검사등을 통해 비강내의 충혈이나 수양성, 농성 비루등을 확인하여 진단합니다.

이 질병은 어떻게 치료하나요? 더보기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적절한 대증요법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면 대개 1-2 주일내에 급성 비염은 저절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미열과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해열 진통제가 사용되거나 콧물을 줄이기 위해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되며 코막힘을 완화하기 위해 비점막 수축제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항생제의 경우에는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에는 효과가 없지만 대개 의 경우 이차감염이 생길 경우 폐렴이나 뇌막염등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적으로 일차적인 항생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없나요? 치료 경과는 어떤가요? 더보기

염증이 귀에까지 퍼져서 중이염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나아가서는 인후두염이나 기관지염, 부비동염까지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비염의 염증이 퍼져 콧물 등이 괴어 머리가 아프거나 무겁고 고름 섞인 콧물이 나옵니다.

이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더보기

1. 감기를 예방하여야 합니다.
2. 휴식을 취하고 평소에 운동을 하여 면역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신체 접촉이나 공기를 통하여 전염될 수 있으므로 따뜻한 물과 비누로 손을 자주 씻습니다.
4. 흡연이나 간접흡연을 피합니다.
5. 물이나 쥬스 같은 음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6. 술을 마시지 않습니다.
7. 따뜻한 소금물로 양치질을 합니다.
8. 식염수나 미지근한 물을 코에 떨어 뜨리면 코가 덜 막히게 됩니다.

제가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더보기

1.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할 경우 졸음과 구갈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이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운전 및 기계 조작을 피합니다.
2. 비충혈제거제를 복용하시는 분도 운전 및 기계 조작을 피하셔야 하며, 술을 드시면 안됩니다.
3. 분무제 중 혈관수축작용을 하는 약품인 항울혈제를 임의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코 점막이 손상되는 약물성비염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더보기

보건복지부 건강정보포털; 2011
대한이비인후과학회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관련제품보기

0/0

최근 본 콘텐츠

TOP